블록체인 이론15 공개 범위에 따른 블록체인(프라이빗) 프라이빗 블록체인이란 폐쇄형 블록체인으로 퍼블릭 블록체인에 상대적인 개념이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서비스 제공자의 승인을 받아야 참여가 가능하다. 그 과정에서 신원이 모두 밝혀져서 익명성도 없고 시스템 전체를 관리하는 중앙 관리 주체가 존재한다. 이 주체가 참가자의 범위를 결정 한다. 주로 기업에서 활용한다. 미리 참가자를 제한하고 신뢰 할 수 있는 참가자끼리 거래를 승인하기 때문에 합의 알고리즘이 퍼블릭 블록체인에 비해 간단하여 네트워크 운영에 참여한 보상이 필요 없고 정보의 외부 유출을 원치 않으며 처리 속도를 중요시 한다. 고도의 보안을 필요로 하는 정부에서도 이러한 형태의 블록체인 도입을 고려중이다. 특징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참여하려면 반드시 권위 있는 조직 승인이 필요하다. 운영 주체가 명확하고.. 2022. 2. 14. 공개 범위에 따른 블록체인(퍼블릭) 블록 체인은 활용 되는 목적, 공개 범위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그 종류는 현재 퍼블릭, 프라이빗, 컨소시엄, 이 있다. 퍼블릭 블록체인 퍼블릭 블록체인이란 누구든지 자유롭게 참여 가능한 개방형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트랜잭션 내역이 모두에게 공개되어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 노드가 이를 검증하고 거래를 승인하기 때문에 처리 속도가 느리기도 하다. 또한 특정 조직의 승인 없이 누구든지 다양한 장비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 할 수 있다. 특징 퍼블릭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개별 컴퓨터를 노드라고 부른다. 각 노드들은 블록 체인에 저장된 데이터를 복사, 저장하고 해시 연산을 통해 새로운 블록 생성에 참여 가능하다. 또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하지 않고 접속을 차단함으로써 자유롭게 .. 2022. 2. 14. 블록 체인이란 블록 체인의 역사 블록체인은 사이버 펑크 운동에 뿌리두고 있으며 사이버펑크는 중앙집권화된 권력에 반하여 탈 중앙화 시스템을 만드려는 운동이다 2009년 1월 3일 사토시 나카모토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최초의 암호화폐인 비트코인(bitcoin)을 개발하고 C++ 언어로 작성한 소스 코드를 배포했다. 블록 체인이란 무엇일까 (블록 + 체인) 블록 체인 기술의 핵심은 인터넷 상에 "모든 사람"과 동일한 데이터를 가진다. 라는 것이다. 1. 누구나 데이터를 추가 할 수 있고 2. 데이터는 한 번 추가되면 위변조가 불가능하며, 3. 개인이나 단체가 데이터를 관리 하는 것이 아닌 블록 체인의 모든 사람이 함께 관리한다. 블록 이란?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라 말 할 수 있다. 자산에 대한 정보, 개인 정보, 등.. 2022. 2. 14.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