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솔로프로젝트/컨트렉트4

Solo) Swap. 유동성 풀, 오라클, AMM 유동성 풀이란 무엇인가 스마트 컨트렉트 내에 동결되어 있는 자금들. 유동성 풀은 탈중앙화된 트레이딩, 대출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된다 유동성 풀은 유니스왑과 같은 덱스거래소의 핵심이다. 유동성제공자라 하는 이들은 풀에 동일한 가치를 갖는 두 가지 토큰을 추가하고 시장을 생성한다. 자신이 자금을 제공하는 대가로 사용자는 자신의 풀에서 발생하는 거래 수수료를 전체 유동성 내 자신의 지분에 따라 분배 받는다 누구나 유동성 공급자가 될 수 있으며 자동화된 시장 메이커를 통해 시장 메이킹의 접근성이 더욱 용이해졌다 유동성과 오더북 비교 오더북이란 특정 시장에서 현재 체결되지 않은 주문들의 모음 시스템은 매칭 엔진이라 하는 것을 통해 각 주문을 체결시킨다. 매칭 엔진과 함께 오더북은 중앙화된 거래소의.. 2022. 3. 9.
Solo) Swap. 스테이블 코인 스테이블 코인이란 무엇인가 달러나 유로 같은 명목화폐의 가치를 모방하도록 설계된 디지털 자산 트랜잭션 처리간 급격한 가격변동이 없기 때문에 교환의 매개체로 좋다 어떻게 작동하는가? 명목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 명목화폐와 1:1 비율로 직접적 연동된것, 이를 명목화폐 담보 스테이블 코인이라한다. 중앙 발행자는 명목화폐로 준비금을 보유하며, 이에 비례해 토큰을 발행한다 예로 발행자가 백만달러를 가지고 있다면 하나에 1달러인 백만개의 토큰이 분배된다. 이에 어쩔 수 없이 높은 수준의 당사자 위험이 존재하는데 결국 발행자를 신뢰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사용자는 발행자가 준비금을 보유하고 있는지 확신 할 수 없다. 이는 신뢰가 필요 없는 시스템과는 거리가 멀다 바이낸스는 BUSD와 BGBP 두가지 명목화폐 기반 스테.. 2022. 3. 9.
Solo) Swap. 스테이킹/Pos/DPoS 스테이킹이란? 스테이킹은 보상을 받기 위해 암호화폐를 동결 하는 것 지분 증명은 적절한 수준의 탈중앙화 수준을 유지하며 블록체인이 보다 에너지효율적으로 운영 될 수 있게 하는 합의 메커니즘이다. 지분증명이란 무엇인가 코인을 동결하고 프로토콜이 특정 간격에 따라 다음 블록을 검증할 이를 임의로 선정하는 것 선택될 확률은 코인의 비율과 관련되는데 더 많은 코인을 동결 할 수록 확률은 더 높아진다 사실 이 부분에서 중앙화 아닌 중앙화가 이뤄지지 않나 싶다. 부의 집중화 어떤 참여자가 블록을 생성할지는 얼마나 많은 스테이킹 코인을 보유하고 있는지에 따라 결정 pos로 전환하면 블록체인 확장성이 올라갈거라고도 주장한다 지분증명은 누가 만들었는가 피어 코인에 대한 2012년 논문에 비롯, 하이브리드 작업증명/ 지분.. 2022. 3. 9.
Solo) Swap. DeFi 이해하기 플랫폼의 기본 틀이 완성이 되었고 NFT 쪽도 마무리가 되어 SWAP 으로 넘어가려고 한다. 넘어가기에 앞서 자료를 검색해본바에 따라 정리 부터 하도록 하겠다 DeFi 탈중앙화 금융이란 무엇인가 DeFi는 블록체인 위에서 작동하는 금융 application 생태계 투명한 금융 서비스 생태계를 만들고자 하는 움직임 현 금융 시스템으로부터 고립된 이들이 금융 서비스를 쉽게 이용 가능 주요 이점은 무엇인가 중개자가 필요하지 않다. 즉 중간과정이 생략되어 있기 때문에 비용이 감소하고, 마찰이 없다 단일 실패점을 제거한다. 검열, 서비스 중지가 왠만해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금융시스템의 소외계층에게도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DeFi의 잠재적 활용방안 대출, 대여 개방형 대출 프로토콜, 즉각적인 거래 체결이 가능하며.. 2022. 3.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