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 체인의 역사
블록체인은 사이버 펑크 운동에 뿌리두고 있으며 사이버펑크는 중앙집권화된 권력에 반하여 탈 중앙화 시스템을 만드려는 운동이다
2009년 1월 3일 사토시 나카모토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한 최초의 암호화폐인 비트코인(bitcoin)을 개발하고 C++ 언어로 작성한 소스 코드를 배포했다.
블록 체인이란 무엇일까 (블록 + 체인)
블록 체인 기술의 핵심은 인터넷 상에 "모든 사람"과 동일한 데이터를 가진다. 라는 것이다.
1. 누구나 데이터를 추가 할 수 있고
2. 데이터는 한 번 추가되면 위변조가 불가능하며,
3. 개인이나 단체가 데이터를 관리 하는 것이 아닌 블록 체인의 모든 사람이 함께 관리한다.
블록 이란?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라 말 할 수 있다. 자산에 대한 정보, 개인 정보, 등 다양한 유형 정보를 담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블록 구성은 어떤 종류의 데이터를 저장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ex) 비트코인과 같은 일반적인 경우 블록에 '거래 기록' 을 저장한다. 이 거래 기록을
'트렌젝션' 이라 부른다. 간편히 이야기 해서 이체 내역이라 보면 된다. 이체 내역에 추가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자산 소유권을 증명하기 위한 디지털 서명이 추가된다.
블록은 여러 트렌젝션들을 담은 거래 기록 집합이라 볼 수 있다.
체인 이란?
블록을 하나로 구성하기엔 크기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하나의 블록에 일정 갯수의 트랜잭션을 넣어 네트워크에 공유를 하면, 새로운 블록을 만들어 새롭게 생긴 트랜잭션을 담는다. 그리고 이 새로운 블록에는 이전 블록을 지칭하는 데이터를 함께 넣어 직전 블록이 어떤 블록인지 지정한다. 블록이 연결 된 모습이 체인과 같기에 이런 데이터 구조를 블록 체인이라 칭한다.
블록 생성은 어떻게?
해당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거래가 발생하여 새로운 거래내역, 즉 트랜잭션이 생기면 네트워크 내 모든 노드에게 공유된다. 노드들은 공유 받은 트랜잭션이 유효한지에 관한 검증을 실시한다.
노드란 : 네트워크 장치 or 데이터 스팟을 칭한다. 네트워크에 접속 된 컴퓨터를 지칭.
유효성 검사가 끝나고 트랜잭션이 블록에 담긴 뒤 데이터가 담긴 블록이 체인에 추가되어 블록 체인을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블록 생성의 방법에는 여러 가지의 종류가 있는데 이에 대한 내용은 후에 자세히 다루겠다.
분산 원장
원장이란 거래 내역의 집합을 말하며, 블록체인은 원장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유형 중 하나다. 분산 원장은 중앙 집중식 데이터 베이스와 다르게 분산 되어있으며, 데이터를 여러 위치에 두거나 여러 사용자들이 나눠 가지고 있다. 또한 데이터 저장을 위해 데이터를 공유 하고 있는 당사자들이 합의를 해야한다. 합의에 대한 내용은 ()에서 다룬다. 합의를 통해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 들이 하나의 일관된 데이터를 가진다. 블록 체인은 네트워크 내 모든 노드들이 새로운 블록에 대해 검증을 하고 난 후에 블록 추가 할 수 있다.
블록 체인은 일반적으로 블록 형태로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리고 모든 블록이 직전 블록과 연결 되어 있으며 순서대로 배열 되어있다. 또한 삭제, 수정이 불가하다. 블록 생성 메커니즘은 블록을 생성할 노드를 정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증명 방식을 사용하는데 증명 방식에 따라 장점과 단점이 존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많은 시도들이 진행중이다. 이에 대한 내용은 ()에 다룬다.
블록을 생성하면 노드에게 보상으로 코인이라는 것을 제공한다. 코인이라는 가상화폐를 제공함으로써 더 많은 참여자들을 유인하는 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코인을 제공하는 방식은 증명 방식에 따라 다르다.
블록 체인이 분명 혁신적인 기술인 것은 확실하지만 여러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 지금 현 상황이고 이를 해결 해야만 앞으로 진일보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에 대한 문제들 역시 추후 다루도록 하겠다.
'블록체인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클트리 (0) | 2024.02.21 |
---|---|
암호학 (0) | 2024.02.19 |
공개 범위에 따른 블록체인(컨소시엄) (0) | 2022.02.14 |
공개 범위에 따른 블록체인(프라이빗) (0) | 2022.02.14 |
공개 범위에 따른 블록체인(퍼블릭) (0) | 2022.02.14 |
댓글